본문 바로가기
전기 기술사

전력 송전방식(Features of Transmission System)

by 투 라이프 2024. 1. 4.
반응형

각종 송전방식과 전력

송전방식에는 전력전송을 교류로 하느냐 직류로 하느냐 에 따라서 교류 송전방식과 직류 송전방식으로 구분되는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교류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교류 송전방식은 주파수가 50[㎐]와 60[㎐]가 있으며, 주파수가 커지면 각종기기의 규모가 작아지는 이점이 있으므로 60[㎐]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수에 의해 단상(Single Phase)식과 다상(PolyPhase)식으로 구분되며 다상식이 단상에 비해서 전송전력이 커지는 이점이 있어서 대부분 3상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표 1]은 각종 송전방식에 대한 전송전력을 비교계산한 표인데 3상 송전방식이 타방식에 비해 전력이 큼을 알수 있습니다. 중성선은 다른 선과 동일한 굵기입니다.

 

 

 표(2)는 단상2선식과 3상3선식에 대한 전류의 크기, 전선저항, 단면적등을 계산한 비교표인데 3상이 단상에 비해서 유리함을 알 수 있습니다.

계산조건은 동일한 전력, 긍장, 전력손실일 때이다. 또 각 상에 여러개의 전선 즉 도체군(bundle conductor system)을 구성하는 3상 다도체 방식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8년도에 154[㎸] 2도체방식을 시발로 해서, 345[㎸] 4도체 방식을 거쳐 765[kV] 6도체 방식까지 운용중에 있습니다. 다도체방식은 전선의 인덕턴스는 감소하고, 정전용량은 커지므로 고유송전용량이 증가되며, 전선표면의 전위경도를 감소하여 코로나 개시전압이 높아지므로 잡음장해등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정도가 증진되는 등의 이점이 있어 초고압송전방식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댓글